“마을 사람이 일하면 바로 가서 돕기도 하는데 다들 놀라요”

여느 지방 중소 도시처럼 영주도 인구가 급격히 줄고 있어 지방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되고 있다. 당국이 각종 인구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인구증가 정책이 출산장려와 귀농 귀촌 운동에 머물렀다면 앞으로는 귀향운동으로의 패러다임 변화가 절실하다. 고향을 떠나 대도시에 머물고 있는 지역 출향인은 대략 30만 명으로 추정된다.

이에 본지는 이들 출향인이 은퇴 후 자신이 평생 직장생활을 하며 쌓아온 경륜을 귀향을 통해 고향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그들의 생각을 들어보는 애향인 인터뷰를 마련했다. 이번 애향인 인터뷰를 통해 인구증가를 위한 귀향정책과 지역발전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 보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편집자 주>

마을 사람에게 도움 줄 수 있는 역량 장기간 걸쳐 준비

남의 집 갈 땐 빈손으로 가지 말라는 어른들 교훈 실천

 

경제적 여유 없는 귀촌 촉진 , 지상권 주택 적극 활용해야

출향인 귀향의욕 촉진 위해 영주시민신문 보내기 운동 필요

많은 귀농귀촌인들이 실패를 경험하고 있다. 귀촌 준비를 미리 하고 아직 귀촌을 아직 하지 않은 현 시점에서 빨리 귀촌하라는 시골 마을 이웃의 독촉을 받고 심지어는 빨리 와서 이장을 맡으라는 말을 듣는 애향인이 있다.

서울시 교육청에 장기근속하고 금년 말 퇴직을 앞둔 김진만씨 이야기다. 성공적 귀농귀촌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 내용 중심으로 여러 번에 걸쳐 그와 인터뷰를 했다. 그의 귀촌 진행 경험은 귀농귀촌하는 사람들에게 피부에 닿는 도움이 되리라 본다.

어디에서 태어나 자라셨는지요?

봉화 문단에서 태어났습니다. 도촌초등학교 졸업 후 영주에서 대영중학교, 영주중앙고등학교를 다녔습니다.

귀농준비를 오랫동안 하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저는 귀촌하면 숲해설을 하고 싶습니다. 숲해설사 외에 수생태해설사, 녹색환경관리사, 가축인공수정사, 한우 컨설턴트, 미술치료사 관련 교육을 받고 자격증도 취득했습니다. 데크도 수리할 줄 알고 전기 공사도 할 줄 압니다. 레크레이션 지도도 합니다.

직장 생활 중 휴가를 내서 시골 생활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조사하고 배웠습니다. 저는 횡성에 집을 하나 마련했고, 축산 농장에 가면 설사하는 한우에게 먹일 약을 알려주고 소의 발정 여부를 알려주기도 합니다.

정말 오랫동안 다양하게 준비하셨군요?

10년을 준비했습니다. 제가 문단 촌놈 출신이라 농촌에 익숙해서이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지금 시대에 시골 생활을 하려면 마을에 도움 되는 것을 하나라도 더 알아야 어울려 살기 좋습니다. 무작정 귀농귀촌하면 상상과 실제가 달라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시골 생활에 필요한 여러 지식만 갖추었다고 시골 생활이 쉽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만?

그럼요. 시골에 가면 그곳에 사는 사람들과 친해야 합니다. 저는 나이가 한두 살만 많아도 형으로 호칭하며 다가갑니다. 한 번은 아내와 교회를 가다 트랙터로 벼 베는 이웃 형을 보고 차를 돌려 작업복으로 갈아입고 장화 신고 트렉터로는 손길이 미치지 못하는 곳의 벼를 베어주었습니다. 이웃 사람들은 무얼 잊어버려 집에 가지러 가는 줄 알았답니다. 일손을 보탤 줄 몰랐다고 합니다. 교회는 다른 시간에 가도 되지만 일은 그 때가 아니면 돕지 못하잖아요.

일손 돕기에 적극 나서셨군요. 쉬운 일이 아닌데요.

시골 가서 보면 전원주택으로 귀촌한 분들 중 이어폰 끼고 음악 들으면서 운동하는 사람들 봅니다. 마을 사람들을 보아도 인사도 하지 않고 지나치는 모습이었습니다. 이어폰 끼고 있으니 말 걸기도 어렵습니다. 마을 사람과 귀촌인 간의 단절의 모습이기도 합니다. 저는 시골 출신이니 논과 밭에 들어가는 게 자연스럽기도 합니다. 시골출신이고 시골 생활에 필요한 데이터를 많이 만들어 놓은 게 현지에 가서 잘 녹아들도록 한 듯합니다.

속마음은 다를 수 있지만 이어폰이 ‘난 다른 소리는 듣고 싶지 않아’로 보일 수 있겠군요.

네. 이어폰 끼고 운동하는 분들을 비난하고 싶지는 않지만 같이 어울려 사는 모습으로 보이지 않습니다. 저는 남의 집에 갈 때 빈손으로 가지 말라는 어른들 말씀을 듣고 자라서인지 이웃집에 박카스 한 통이라도 들고 갑니다. 며칠 전 횡성 집에 갈 때에는 김을 갖고 가서 돌렸습니다. 큰돈이 들지도 않습니다.

어른들의 그런 말씀을 자주 들었어도 실행은 또 다른 문제인데... 횡성 집에는 자주 가나요?

최소 2주에 한 번은 갑니다. 그래야 집을 제대로 건사합니다. 지난 주 딸네가 와서 외손녀를 봐주었습니다. 트렉터로 이웃의 벼 베는 것을 도와주긴 했습니다만 손녀랑 놀아주느라 이웃 농사를 제대로 돕지 못했습니다. 제 지인들 중에 저희 횡성 집에 다녀간 분들이 많습니다. 그 분들에게 저의 귀촌 생활을 이야기하곤 합니다.

트렉터로 벼수확 돕기
트렉터로 벼수확 돕기

트렉터 운전도 하실 수 있군요?

그럼요. 귀촌해서 써 먹으려 배웠는데 이웃 돕기에 써먹을 수 있어 좋습니다. 사실 횡성의 동네 형님들이 저를 많이 기다립니다. 길 가다 멈춰 인사하고 집에도 찾아가고 도와달라 말을 하지 않아도 도와주니 좋다고 합니다. 수도권에서 귀촌하는 분들은 ‘서울 깍쟁이’란 평을 들으면 안 됩니다. 인사 없고 소통 없고 데면데면하면 ‘서울 깍쟁이’로 불리게 됩니다.

횡성집을 마련하기 전 그곳에 지인이 있었는지요?

전혀 없었습니다. 모두 거기에 가서 사귄 사람들입니다. 이장님만 해도 현 이장님만 아는 게 아니라 전 이장, 전전 이장, 전전전 이장, 전전전전 이장님까지 압니다. 농협조합장님도 저 보고 빨리 내려오라고 하십니다.

점심 식사 때 길 가다가 만나면 농사지어 가던 버섯, 산나물을 나누어 줍니다. 저는 그 분들을 반강제로 차 타시게 하여 식당에 가서 점심을 같이 먹곤 합니다. 같이 하는 식사는 마음을 터놓게 하더군요. 집에 초대하여 삼겹살 구워 먹으면 아주 오랫동안 만난 사람 같이 됩니다.

방문 할 때 빈손으로 가지 않고 점심 때 만난 마을 사람을 억지로라도 식당에 같이 가 점심을 사고... 돈도 많이 들겠는데요(함께 웃음).

그렇게 많이 들지도 않습니다. 더구나 그 분들이 제게 건네주는 농산물이 있잖아요. 식사대접이야 제가 현직에 있으니 가능한 일이기도 합니다. 농사는 수확을 해야 소득이 생기니 제가 점심을 사는 거지요.

빨리 귀촌하여 이장 맡으란 권유도 받겠는걸요.

어떻게 아셨어요? 그런 소리를 자주 듣습니다(함께 웃음). 마을 사람들도 그런 말씀을 하고 농협조합장님도 그런 말씀을 하고..

20대에 서울로 가서 공직 생활을 하셨는데 서울로 가기 전 고향에서의 추억을 소개해 주십시요.

초등학교 때 내성천에 가서 친구들과 놀던 기억도 납니다. 그 때는 나이 몇 살 차이가 나도 친구로 놀았지요. 대영중학교 들어가고 나선 아랫보름골 누님댁에서 살았는데 친구들과 자전거 타고 서천교 근처에 가서 목욕하고 놀았습니다. 중앙고등학교 다닐 땐 그림을 그렸습니다. 후배인 옷칠화가 이상열도 같이 그림을 그렸지요.

그 때 중앙고, 영주고, 영광고 친구들과 같이 영주문화원에서 그림 전시도 했습니다. 현재 영주문화연구회 회장인 김신중 선배도 독서회 활동을 하며 만났습니다. 김신중 회장님은 영주 봉산교회를 같이 다녔었지요. 기독교 경안노회 소속으로 영주.안동 연합수련회 캠프 강사로 활동하기도 했습니다.

경제적으로 넉넉지 않은 분들은 귀촌이 어렵다 합니다.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지상권 주택이 그런 분들의 귀촌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시골 땅값이 많이 올라 돈이 없으면 귀촌도 못합니다. 시골에는 폐가로 변해가는 지상권 주택이 많습니다. 폐가는 마을 주민의 삶의 터전을 망치기도 합니다.

지상권 주택은 가격이 저렴하니 여유가 없는 귀촌인들이 활용할 수 있고 마을의 폐가 발생도 방지할 수 있고 인구도 늘릴 수 있습니다. 지상권 주택 정보를 알려주고 귀촌인을 유치하는 노력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꼭 지자체만의 노력이어야 하지는 않습니다. 민간단체의 자발적이고 적극적 활동도 필요합니다.

영주 소식을 가장 빠르게 전달하는 영주시민신문을 출향인들이 보도록 하면 애향심을 높이고 귀향 욕구도 높일 수 있을 겁니다. 신문사가 하기보다 문중과 동창, 마을이 나서야 합니다. 문중은 친족에게, 동창회는 동창들에게, 마을은 마을 출향인에게 보내는 방식이 더 애틋하고 효과가 높을 겁니다.

수생태 강의중

귀촌을 하며 마음을 트고 서로 격려하고 정보를 주고받는 동반자 같은 분도 있나요?

귀농귀촌을 하는 사람은 그런 마음 트는 사람이 필요하다 봅니다. 저는 교감으로 계시다 하동으로 귀촌한 분과 긴밀히 연락하고 있습니다. 그 분이랑 자주 카톡과 이메일을 주고 받습니다. 그 분은 강의도 많이 다니십니다. 저는 숲해설과 문화해설을 융합하고 싶습니다. 서원에 가면 왜 회화나무가 있는지라든지...

숲과 문화 결합 해설 및 강의가 귀촌 후의 진로이군요?

숲과 문화해설 결합 강의나 안내 외에 어른들 일상을 유튜브로 찍을 겁니다. 오늘은 무얼 심었고, 무얼 추수했고, 강아지는 얼마나 컸고, 송아지가 몇 마리 태어났고, 담장을 어떻게 바꾸었는지, 고구마를 캤는지, 표고버섯이 얼마나 솟았는지, 어른들 건강은 어떠신지 등등을 유튜브로 찍고 싶습니다. 생활기록이기도 하고 그 분들의 아랫대는 부모님과 집의 소식을 생생하게 볼 수 있을 겁니다. 현재 어떻게 할지 구상하며 유튜브 제작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횡성집은 다른 분에게 넘기고 고향으로 오시지요.

그럴까요?(함께 웃음).

                                                                   황재천 프리랜서 기자

 

 

 

 

 

 

 

 

 

김진만씨 프로필

- 도촌초등학교 졸업

- 영주 대영중학교 졸업

- 영주 중앙고등학교 졸업

- 안양대. 방송통신대 졸업

- 서울시 교육청 학교교육행정

- 초등영재교육발명교실 운영

- 시설관리본부

- 숲해설사. 미술치료사(국민대)

- 수생태해설사(자연생태 환경관리사). 녹색환경관리사(고려대)

- 가축인공수정사(연암대)

저작권자 © 영주시민신문(www.yjinews.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